이번에는 Huggging Face에 있는 Gradio 기능에 대한 소개와 간단한 실습 예를 통하여 사용에 대하여 살펴 보겠습니다.

이 또한 다양한 활용 방안이 있기에 향후에 Hugging Face의 다른 기능과 함께 계속 살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Gradio 기능 

1. Gradio의 기능은 무엇인가?

기본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다고 합니다. 

- 머신 러닝 모델, API 또는 데이터 과학 워크플로를 "웹 인터페이스"로 다른 사람들에게 데모하거나 공유할 수 있습니다. (Gradio를 사용하면 Python으로 데모를 빌드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 보통 몇 줄의 코드만으로 가능함)

 

Gradio의 또 다른 활용 방안 

Gradio를 "일반인이나 초보자 등 소비자나 비전공자 측면"에서는 "코드를 잘 몰라도" 쉽게 인공지능 모델을 사용해보고 인공지능 세상에서 이것저것 해볼 수 있는 '놀이터' 기반 기능을 제공해 주는 기능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렇게 즐기다보면 취미가 되고 각자 좀 더 깊이 개발할 수도 있겠지요!

 

인터넷에 따른 정보의 민주화와 같이 인공지능의 민주화에 open source가 기여하는 또 하나의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Gradio 실습

 

이번 글에서는 Gradio 사용 방법 첫번째 실습입니다. 관련 내용은 유튜브에 담았습니다.

 

(1) 예제 - Hello 예제, 이미지분류 예제 등

 

유튜브 참고

https://youtu.be/jZKkU1iKnec

(2) 실습코드

gradio (1) 실습 코드.txt
0.00MB

 

 

 

 

 

 

 

 

 

 

 

 

 

최근 이슈 중에서 보험산업에 있어 할인율 현실화에 따른 할인율 하향 조정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할인율에 따른 착시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면 현재 공시된 정보는 잘못된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나올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youtu.be/Perm8tdcaVE

이번에는  ChatGPT Plugin 중에서 Argil AI라는 러그인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Argil AI 설치

 

1. (설치) ChatGPT에서 Plugin Store에서 Argil AI를 아래와 같이 검색하여 [Install] 을 눌러 설치합니다.

2.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고 [Login]을 선택합니다.

3. 본인이 원하는 방법으로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4.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고 본인이 해당하는 것에 check하고 계속합니다.

5. 다음과 같은 요금표가 나타납니다. 일단은 Free 요금제를 선택합니다.

6. 다시 ChatGPT의 플러그인 스토어에 와서 Argil AI의 [Install] 버튼을 클릭합니다.

7. 다음과 같이 ChatGPT를 Argil.ai 계정에 인증하라는 화면이 뜨고 Authorize를 선택합니다.

 

 

8. 이제 ChatGPT에서 Argil AI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Argil AI 기능

 

Argil AI가 할 수 있는 일은 3가지가 있습니다:

(1) 일반 이미지 및 사용자 지정 이미지 생성하기

(2) 이미지 데이터, 즉 "모델"을 AI에 학습시킵니다. 사람, 사물, 스타일 등이 될 수 있습니다.

(3) AI 자동화를 생성하고 실행하여 텍스트 또는 이미지와 관련된 반복적인 작업을 간소화하세요.

 

이미지 생성

이미지는 다음과 같이 생성합니다.

A. ChatGPT4에서 생성하기

ChatGPT에서 작업

https://youtu.be/f2GgPCcXqEE

 

B. (참고) Argil AI 싸이트의 Playground에서도 작업이 가능합니다.

(1) Playground로 클릭하여 들어갑니다.

(2)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처음에 나타납니다.

(3) 다음과 같은 부분을 고려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면 됩니다. (※ 기본 사용 방법은 Stable Diffusion모델과 유사합니다)
 a. 사이드바에서 모델을 선택합니다(기본 모델 또는 자체 모델 중 하나를 기본으로 선택합니다)


 b. 프롬프트 표시줄에서 다음 중 하나를 수행합니다.
  ① 프롬프트를 입력합니다(사이드바 → 프롬프트 기본 설정에서 'GPT로 문구 바꾸기' 기능을 활성화하여 결과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② 미리 설정된 키워드를 사용합니다(키워드를 클릭하고 카테고리를 선택한 다음 원하는 키워드를 선택합니다)


③ 템플릿을 실행하여 기초부터 시작하기

 

c. 필요한 setting을 합니다. (예: 이미지수, prompt preferences, CFG(5-15), Degree of details (20-50), seed, sampler 등)

 

 

 

 

 

 

 

 

 

 

 

 

 

 

 개요

 

최근의 대부분 인공지능 연구나 프로젝트에는 딥러닝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딥러닝을 프로그램이나 모델을 구현하여 실행하는 것은 상당히 복잡한 부분이 있다. 그런데  다행히 텐서플로우, 파이토치 등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딥러닝 분석을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전히 딥러닝 모델을 구축하려면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모두 필요합니다. 특히 최근의 LLM 등은 개인이나 왠만한 기업이 처음부터 구축하는 것이 사실상 거의 불가능할 정도입니다.

이러한 경우, 어떤 작업 수행을 위한 모델을 개발하는 경우 기존에 다른 기업이나 사람이 개발하고 학습시킨 모델을 재사용할 수 있다면 딥러닝 등 인공지능 모델에 대한 접근이 좀 더 수월해질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기존에 개발하여 학습시킨 모델을 재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전이학습(transfer learning)이라고 합니다.

전이 학습(TL)은 한 작업에서 학습한 지식을 관련 작업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재사용하는 머신 러닝(ML)의 기법입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분류의 경우, 자동차 인식을 학습하면서 얻은 지식을 트럭을 인식할 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학습한 작업의 정보를 새로운 작업에 재사용/전사하면 학습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Transfer learning (TL) is a technique in machine learning (ML) in which knowledge learned from a task is re-used in order to boost performance on a related task. For example, for image classification, knowledge gained while learning to recognize cars could be applied when trying to recognize trucks. This topic is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on transfer of learning, although practical ties between the two fields are limited. Reusing/transferring information from previously learned tasks to new tasks has the potential to significantly improve learning efficiency.
*
위키피디아

 

 문제점 인식 및 표준화 

모델을 사용함에 있어 전이 학습을 이용하는 경우 문제점이 발생하였습니다. 전이학습을 수월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제공된 모델 코드 등의 표준화가 되어 있으면 수월합니다. 그런데 그러한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제공된 모델을 수정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허깅페이스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위하여 허깅페이스 라이브러리 등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문제에 모델을 적용하는 코드와 각종 도구를 제공합니다. 

 

※ 허깅페이스를 통하여 기존에는 모델을 훈련하고 테스트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상당히 단축되었고 수월해졌음

 

 Hugging Face란?

- 허깅페이스는 머신러닝 기술을 제공하는 오픈소스 및 플랫폼 제공업체입니다. 허깅 페이스는 2016년에 설립되었으며 뉴욕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 허깅 페이스는 텍스트 분류, 감정 분석 등과 같은 NLP 작업(Natural Language Processing)을 위해 사전 학습된 언어 모델, 그리고 image, 오디오 등 다양한 모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Hugging Face 장점

- (전이학습 가능) 가장 좋은 점은 모델을 처음부터 훈련할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사전 학습된 모델을 로드하고 Hugging Face를 사용하여 특정 작업에 맞게 미세 조정하기만 하면 됩니다. Hugging Face를 사용하면NLP작업 등을 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사용편의성) 허깅 페이스가 인기 있는 또 다른 이유는 사용 편의성입니다. 간단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가 있습니다. 단 몇 줄의 코드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제 이전 간단한 예제를 보셔도 3-4줄 정도의 간단한 코드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NLP 등을 빠르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 (강한 커뮤니티) 적극적인 Hugging Face 커뮤니티가 있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커뮤니티는 사전 학습된 모델을 공유함으로써 라이브러리의 성장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 무엇보다 좋은 점: "남녀노소 누구나" 복잡한 딥러닝 모델 구축이나 데이터 처리 등을 몰라도 쉽게 여러 인공지능 모델을 편하게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Hugging Face 생태계 살펴보기

유튜브 영상을 통해 Hugging Face 세계를 여행(Transformers library, Model, Datasets 등)해 보겠습니다.

 

https://youtu.be/rcd9821QQuI

 

https://huggingface.co/

 

Hugging Face – The AI community building the future.

 

huggingface.co

 

 

 

 

 

 

 

 

 

 

 

 

 

저를 포함한 많은 직장인 분들이나 프리랜서 등께서 강연이나 원고 집필 등으로 수입이 생기시는 경우에 궁금해 하시는 소득의 종류 및 원천징수 등에 대하여 살펴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youtu.be/w4sAyWcZrSc

유투브

https://youtu.be/-YyYnf9XXrM

 

 

가상자산 회계감독지침(안) 설명회 개최

금융감독원은 한국회계기준원 및 한국공인회계사회와 함께 가상자산 회계감독 지침(안), 기준서 공개초안, 주석공시 모범사례(안) 및 감사가이드라인에 대해 다음과 같이 3차례 설명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설명회 일자 : (1차) 7.26. (DAXA)

                           (2차) 8.3. (한국공인회계사회)

                           (3차) 8.9. (한국상장사협의회)

 

현황

● 최근 블록체인 기술 기반 新산업이 크게 성장하고, 가상자산 관련 여러 회계이슈 발생
   - 現 회계기준에 일부 지침(*)이 있으나, 다양한 토큰 거래를 모두 포섭 곤란
       (* 가상자산의 보유목적을 고려하여 재고자산이나 무형자산으로 회계처리(IFRIC ’19년 해석))
   - 최근 금융위는 STO(Security Token Offering)을 허용하면서, 토큰 증권 발행·유통 규율체계 정비방안 발표(’23.2.6.)

→ 가상자산에 대한 주요 회계처리 지침을 식별하고 선제적으로 안내함으로써 가상자산 회계처리 불확실성을 완화할 필요

(‘23.7.) 금융위, 금감원, 회계기준원 회계쟁점 관련 논의 후 「가상자산 회계감독지침(안)」 등 공개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국회 본회의 통과 (6.30), 2024.7.19 시행
   - 정무위 법안소위(4.25.)에서 필요 최소한의 규제체계 마련 후 보완하는 점진적·단계적 입법추진 합의
   - 6.30. 국회 본회의 통과, 7.18. 공포 (2024.7.19. 시행)

 

감독지침의 성격

- 국제회계기준(IFRS)의 합리적인 해석범위 내에서
  감독업무의 구체적 지침을 마련하여 시장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새로운 회계기준이나 기준 해석은 아님
* 회사는 개별 상황에 따라 합리적인 이유를 근거로 동 지침과 달리 판단하여 회계처리 할 수 있음

 

 가상자산 회계감독 지침(안) 주요 내용

1. 감독지침 적용대상

-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가상자산 중 아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 전자적으로 이전, 저장될 수 있는 증표
   ① 분산원장 기술(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또는 이와 유사한 기술 사용
   ② 암호화(cryptography)를 통해 보안
   ③ 대체가 가능(Fungible)

-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해 자본시장법상 증권을 디지털화한 토큰증권도 적용대상


2. 토큰 발행기업의 회계처리

1) 개발원가 
회계기준 원칙에 따라 K-IFRS 제1038호 상 무형자산의 정의 및 인식기준을 충족하고 개발활동에 해당하여 토큰
 개발활동에서 지출된 원가를 개발비로 자산화할 수 있는지 검토해야 함

   * 개발활동 : 상업적인 생산이나 사용 전에 연구결과나 관련 지식을 새롭거나 현저히 개량된 재료, 장치·제품·공정·시스템이나 용역의 생산을 위한 계획이나 설계에 적용하는 활동
   - 플랫폼 및 토큰이 무형자산의 정의 및 인식기준을 충족하지 않거나, 관련 개발활동이 K-IFRS 제1038호 상 개발활동에
 해당한다는 명백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한, 비용으로 회계처리

 플랫폼 및 토큰 등의 개발원가를 무형자산으로 인식하는 경우, 이후 손상여부 검토 및 재평가모형 적용 여부에 대하여  공시 필요

 

2) 토큰 발행원가 
발행자 자체발행 토큰이 개념체계상 자산의 정의를 충족하지 않는다면, 이와 직접 관련된 원가 또는 비용으로 회계처리
   * 경제적 효익을 창출할 잠재력을 지닌 권리 and 기업의 통제
   - 유틸리티 토큰은 미래에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여 경제적효익을 창출하므로, 토큰만 개발된 ‘현재’시점에서는
자산의 정의를 충족하기 어려움

 

3) 토큰 유상매각
 토큰 판매시 대가를 미리 수령하였더라도 발행자에게 부여된 것으로 식별된 관련 의무를 반드시 모두 이행한 후 수익을 인식
   - 백서(White Paper) 또는 다른 약정 상 약속의 불확실성이 큰 만큼 토큰 발행 시 수행의무를 명확히 파악·식별해야 함 
   - 식별된 수행의무의 성격과 범위를 고려하여 수익인식 시기를 판단하며, 의무를 완료하기 전 회사가 수령한 대가는
계약부채로 인식
 발행시점에 수행의무를 충분·명확히 식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제한적인 상황에서 계약변경에 의한 수행의무의 변경이 발생한 경우
- 백서의 변경 등과 같이 극히 예외적인 경우에 한해 계약변경 회계처리가 가능하고, 그 밖의 경우는 오류로 간주
 명확한 증거가 없이 발행자에게 부여된 의무의 범위를 사후적으로 임의 변경하여 부채로 인식한 이전대가를 수익으로 인식하기 매우 어려움

4) 토큰 유상매각 이외 
 발행자가 유상매각 이외의 약정에 따라 현금을 수령하지 않고 토큰을 유통을 한 경우 
   - 토큰에 내재된 권리*가 있는 경우, 발행자가 제공해야 하는 의무를 부채**로 인식
     * 토큰 보유자에게 미래에 재화나 용역을 제공할 의무가 있는 경우
     ** 가상자산의 공정가치 또는 제공받은 대가 중 신뢰성 있게 측정 가능한 금액으로 인식

   - 인식한 부채는 토큰에 대한 의무를 이행한 시점에 수익으로 인식

 

5) 발행 후 내부 유보(Reserved) 
 발행후 내부유보 토큰은 직접 관련원가가 발생한 극히 예외적 경우가 아니라면, 자산으로 인식하지 않음
 유보물량에 대한 공시 요구사항 강화
   - 개발된 토큰의 총 수량 및 미발행(Reserved) 토큰 수량, 시세정보(상장현황, 거래소 등 거래현황)
   - 미발행(Reserved) 토큰에 대한 향후 활용·발행계획

 

6) 토큰 증권 
토큰증권이 금융상품의 정의를 충족할 경우, 「토큰증권 발행기업」은 (K-IFRS 제1032호 ‘금융상품 : 표시‘)에 따라 발행된 토큰증권이 부채인지 자본인지 결정해야 함
   - 토큰증권의 계약상 권리·의무 관계를 고려하여 개별 건별 분석 필요
 다음 중 하나의 계약상 의무가 있다면, 금융부채로 분류될 가능성이 큼
   ① 거래상대방에게 현금 등 금융자산을 인도하기로 한 계약상 의무
   ② 잠재적으로 불리한 조건으로 거래상대방과 금융자산이나 금융부채를 교환하기로 한 계약상 의무

 

※ 토큰의 종류별 회계처리


3. 토큰 보유기업의 회계처리

1) 최초 측정
 취득 방식과 경로를 고려하여 토큰의 최초 취득원가를 결정
   ① (유상취득) 구입가격에 취득을 위해 직접 관련된 원가를 가산
   ② (플랫폼 운영, 채굴) 운영 또는 채굴 비용 중 토큰의 취득과 직접 관련된 원가를 토큰 취득금액으로 인식
   ③ (용역 제공대가) 토큰의 시세를 합리적으로 추정 가능할 경우 토큰의 시세로, 추정이 어려운 경우 제공한
용역의 개별 판매가격을 참고하여 측정
   ④ (무상수령) 취득원가를 “0”으로 인식
   ⑤ (토큰증권) 금융상품 기준서(K-IFRS 제1032호)에 따른 금융자산으로 볼 경우 최초 인식시점에 공정가치로 측정

 

2) 후속측정 및 손상평가
 취득한 토큰의 분류에 따른 적용기준에 따라 후속 측정
① (재고자산) 취득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실현가능가치-매각부대비용) 중 낮은 금액
   - 예외적으로, 중개기업(사업자 등)이 토큰을 취득한 경우에는
     ⅰ) 국제 상품거래소에서 일반상품(Commodity)으로 취급되고
     ⅱ) 단기간에 처분이 가능한 경우 순공정가치(공정가치- 매각부대비용)로 측정
② (무형자산) 같은 유형의 토큰에 원가모형이나 재평가모형 선택 가능
   - 재평가모형 적용시 원가보다 상승 변동 분은 기타포괄손익, 원가보다 하락 변동분은 당기손익으로 인식
③ (금융자산) K-IFRS 제1109호 ‘금융상품’에 따라 상각후원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당기손익-공정가치 중 하나로 후속 측정

 

3) 처분
 제3자에게 처분하면서 발생한 손익은 매각이 주된 영업활동에 해당하는지 고려하여,
주된 영업활동이라면 영업손익, 그 외에는 영업외손익으로 분류
   - 판매목적 외로 취득했더라도 정관, 사업목적, 금액의 중요성 등을 고려하여 영업손익으로 분류 여부 결정

4. 가상자산 사업자(거래소)의 회계처리

1) 고객위탁 토큰 회계처리
 사업자가 보관하는 고객위탁 토큰의 경우, 고객 또는 사업자 중 해당 토큰에 대한 경제적 통제(Economic Control)*를 누가 하는지 판단하여 사업자의 자산·부채 인식 여부 결정
   * 경제적자원의 사용을 지시하고 그로부터 유입될 경제적 효익을 얻을 수 있는 현재의 능력
 경제적 통제는 아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되, 하나의 지표가 경제적 통제 여부 판단에 결정적인 것은 아님
   ① 사업자와 고객 간 사적 계약
   ② 가상자산법, 특금법 등 사업자를 감독하는 법률 및 규정
   ③ 사업자의 고객위탁 토큰에 대한 관리·보관 수준

 고객의 위탁토큰은 고객에 대한 법적 재산권 보호 수준이 예탁 또는 전자 증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
 사업자의 파산 ·해킹 등의 상황 발생시 고객의 재산권 보호 수준을 고려하여 사업자가 고객위탁토큰 및 관련 부채를 인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
   - (쟁점) 고객의 자산 소유권을 우선 고려하는지 vs 위탁토큰의 관리현황을 참고하여 사업자의 고객에 대한 가상자산
 반환의무를 우선 고려하는지

 고객 위탁토큰은 사업자의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나, 사업자는 자산·부채로 인식하지 않아 재무제표 주요 이용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고객위탁 토큰에 대한 추가 정보를 주석으로 공시

▣ 고객위탁 토큰의 총수량 및 시세정보 등
▷ 고객위탁 토큰 등의 종류, 수량, 기말 공정가치(사업자의 자산·부채로 인식하는 경우와 그 외로 구분)
▷ 고객위탁 토큰 중 고객 소유자산이라고 판단한 경우 근거
▣ 고객위탁 토큰 등의 계약관계 및 위험관리 사항
▷ 계약관계상 사업자의 권리·의무
▷ 사업자 청산 시 고객의 청구권 행사관계
▷ 해킹위험 등에서 고객위탁 토큰 등을 보호하기 위한 절차
▣ 고객위탁 토큰 등과 사업자 소유 토큰 등을 분리하기 위해 실시하는 정책
▷ 위탁정책 및 위탁현황(사업자가 외부에 위탁한 토큰의 종류, 수량, 공정가치, 위탁기관 현황 등)
▷ 고객별 보유토큰 등의 거래원장 관리정책 및 주기적 검증절차 실시내역
▷ 전자지갑 등 고객토큰 등의 보관정책

 

2) 사업자 자체소유 토큰 회계처리
 가상자산의 보유목적을 정보이용자에게 올바르게 제공할 수 있도록, 토큰 보유목적 및 영업행태에 맞게 회계처리
   ① (일반) 관련 규제 등의 사유로 인해 매도·중개하지 못하고 보유하는 경우 → 무형자산 분류
      - 같은 유형의 토큰에 원가모형이나 재평가모형 선택 가능
   ② (매도 또는 중개목적) 중개기업인 사업자가 일반상품(Commodity)인 가상자산을 취득한 경우에만
재고자산으로 분류 후, 순공정가치로 후속측정하고 가치 변동분은 당기손익으로 인식
      - (중개기업) 타인을 위해 또는 자기(사업자) 계산으로 일반상품인 가상가산 매입 후 단기간 내에 매도
         * 단기간이 얼마인지는 기준서상 명확하게 정의하고 있지 않으므로 기업의 판단에 따름
      - (일반상품) 단기 가격변동이익과 중개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취득하며, 동 가상자산이 국제 상품거래소에서
일반상품으로 취급되어야 함
         * CFTC(상품선물거래위원회)는 일부 가상자산(비트코인 등)을 상품(Commodity)으로 취급
   ③ (영업에 사용) 통상적인 영업과정에서 판매를 위해 보유하거나, 용역 제공에 사용될 원재료나 소모품인 경우
재고자산으로 분류 → min(취득원가, 순실현가능가치)로 후속 측정

※ 가상자산의 공정가치 측정 상황

 

5. 가상자산 관련 공정가치 측정에 대한 고려사항

1) 무형자산 - 재평가모형
 ⅰ) 활성시장에 있는 경우에만, ⅱ) 활성시장 기초로 가상자산을 공정가치로 측정 가능
   * (활성시장) 지속적으로 가격결정 정보를 제공하기에 충분할 정도의 빈도와 규모로 자산이나 부채를 거래하는 시장
   - 재평가한 가상자산과 같은 유형의 가상자산에 대한 활성시장이 없어 재평가할 수 없는 경우,
같은 유형의 가상자산은 원가로 표시
     1) 무형자산의 유형은 기업의 영업에서 특성과 용도가 비슷한 자산의 집합임
     2) 자산을 선택적으로 재평가하거나 재무제표에서 서로 다른 기준일의 원가와 가치가 혼재된 금액을 보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같은 유형 내의 무형자산 항목은 동시에 재평가함
   - 활성시장이 없어 원가로 표시한 이후, 공정가치를 활성시장을 기초로 하여 측정할 수 있게된 경우에는
그 날부터 전진적으로 재평가모형을 적용

 (활성시장) 거래소에서 거래가 되는 가상자산은 활성시장이 존재할 수 있으나, 거래소에 상장되었다는 사실 만으로 활성시장의 요건을 충족하는 것은 아니므로 활성시장의 정의를 충족하는지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

① (양적 평가) 지속적으로 가격결정 정보를 제공하기에 충분할 정도의 빈도와 규모로 가상화폐가 거래되어야 함(빈도 및 규모 요건 모두 충족해야)
   - (거래 빈도) 거래의 지속성 충족되어야 함(일별로 거래가 단절된 경우 활성시장으로 보기 곤란)
   - (거래 규모) 객관적 지표(시가총액회전율 등)를 이용하여 판단
② (질적 평가) 가격결정 정보를 확보할 때 데이터 원천의 신뢰성이 높아야 하며, 가상자산을 법정화폐로 교환 가능해야 함
   - (신뢰성) 공인된 신뢰성 있는 시장자료 이용
   - (법정화폐로 교환 가능) 해당 시장에서 공정가치 측정의 기초가 되는 가상자산을 법정화폐로 교환할 수 없는 시장은 활성시장이 아님

 (활성시장 기초) ‘비슷한 가상자산’에 대한 활성시장이 있는 경우 다음 요건을 모두 충족한다면, 해당 가격을 공정가치 투입변수로 사용 가능 (수준 2)

① 동질적이기 위해서는 비슷한 가상자산이 같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생성(또는 개발)된 토큰이어야 함
   * ERC-20(이더리움 네트워크)을 기반으로 생성된 토큰 간은 동질적으로 간주
     비트코인 네트워크와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동질적이지 않음
② 동질적인 토큰 간의 정상적인 거래 규모와 빈도가 충분하여 신뢰성 있는 교환비율이 존재
③ ①, ②를 모두 충족하는 비교 대상 가상자산과의 교환비율과 교환에 따른 전송원가 등을 투입변수로 하여 공정가치 측정 가능

 (공정가치) 측정일 현재 ⅰ)접근 가능한 ⅱ)주된 시장 또는 가장 유리한 시장에서 자산을 매도하는 ⅲ)시장참여자 사이의 ⅳ) 정상거래로 자산이 교환되는 것을 가정하여 측정

① (접근 가능) 활성시장에서 거래 가능, 기업별로 접근 가능한 시장이 다를 수 있으므로 기업 관점에서 고려
   * 가상자산 관련 정보를 통합하여 보여주는 사이트 가격(가중평균가격 등)이 거래소 가격이 아니라면 통합사이트의 공시가격은 사용할 수 없음
② (시장) 접근 가능한 주된 시장(규모 및 빈도 고려) 또는 가장 유리한 시장*
   * 가상자산을 매도할 때 받는 금액을 최대화(거래원가와 운송원가를 고려)하는 시장
   - 주된 시장에 접근 가능한 경우 주된 시장의 가격(1순위)을, 접근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접근가능한 가장 유리한 시장의 가격(2순위) 사용
③ (시장 참여자) 특수관계자 거래 또는 자전 거래 등으로 거래소 등에서 형성된 공시가격은 활성시장의 공시가격이 될 수 없음
   - 거래소 등에서 형성된 가격이 특수관계자 또는 자전 거래로 형성된 가격인지 면밀한 검토 필요
④ (정상거래) 아래의 상황과 같은 정상적이지 않은 거래 가격은 활성시장의 공시가격으로사용하는 것은 적절치 않음
   - 측정일 전 일정기간 동안 시장에서 가상자산이 거래를 위한 충분한 시장노출이 없었음
   - 매도자가 하나의 시장참여자에게 가상자산 마케팅활동을 수행
   - 매도자가 파산이나 법정관리 상태에 있음(재무적 어려움)
   - 매도자가 법적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매도할 것을 요구 받음
   - 거래가격이 같거나 비슷한 가상자산의 최근 다른 거래와 비교하여 거래가격이 예외적임

 

 

 기대효과 및 향후 계

 

1. 기대효과

 회계정보 이용자 입장에서 기업간 비교가능하고 신뢰성 있는 유용한 정보 충실히 제공
   - 회사와 외부감사인 간 회계기준 해석과 관련한 이견도 상당수 줄어드는 등 양측의 불확실성 모두 감소할 것으로 기대

 

2. 향후계획

 가상자산 전문가 간담회 (9~10월)
   - 금융감독원과 회계기준원 및 한국공인회계사회 등 유관기관, 학계 전문가 등
   - 9월 회의에서는 각 업권의 건의사항 및 쟁점사항에 대해 논의하고, 10월에 결론 도출

 회계감독지침과 기준서 개정안은 회계제도심의위원회 및 증선위 심의·의결 등을 거쳐 확정·시행(10~11월) 

   - 감독지침은 확정 즉시 시행하고,

     개정된 기준서(주석공시 의무화)는 ’24.1.1. 이후 최초로 개시되는 사업연도부터 적용예정(조기적용 적극 권고)
 주석공시 모범사례는 K-IFRS 기준서(제1001호) 확정 즉시 발표

 

 

 

※ 상기 내용은 감독당국 설명회 자료를 기초로 작성한 것으로 최종 결과는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참고자료

1. 가상자산 관련 주요 회계이슈에 대한 감독지침(안)_게시.pdf
0.83MB

 

 

 

 

 

 

 

 

 

 

 

ChatGPT용 Prompt Perfect의 플러그인은 프롬프트를 다시 표현하고 더 정확하고 상황에 맞게 만들어 ChatGPT의 응답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있다고 합니다.

 

이번에는 Prompt Perfect 플러그인을 사용해 보겠습니다.

 

 비교 실습 (1)

 

Prompt Perfect 싸이트(CASE STUDY - 하단 참고자료 참조)에 있는 예제의 prompt를 동일하게 사용해 보았습니다.

 

(1) Prompt Perfect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2) Prompt Perfect를 사용한 경우: 프롬프트 입력시 앞에 'perfect' 입력하고, 요청은 동일하게 수행

 

 비교 실습 (2)

 

한글로 프롬프트를 작성하여 비교해 보았습니다.

 

(1) Prompt Perfect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2) Prompt Perfect를 사용한 경우: 프롬프트 입력시 앞에 'perfect' 입력하고, 요청은 동일하게 수행

 

 비교 잠정 의견

- 일단 현재 비교 결과 눈에 띄는 차이는 없어 보입니다.

- 그러나, 프롬프트를 개선하여 좀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는 아이디어는 좋았던 것 같습니다. 

향후 이러한 아이디어가 더 발전하여 좋은 결과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기능에 대하여도 관심을 유지 ~

 

 유튜브 - Prompt Perfect

https://youtu.be/RvxnHVBZj3k

 

 

 

* 참고자료

 

https://www.blog.promptperfect.xyz/p/does-prompt-perfect-work-chatgpt-plugin

 

Case Study: Prompt Perfect vs GPT-4

We tried a prompt with and without Prompt Perfect so you don't have to...

www.blog.promptperfect.xyz

 

IFRS 회계정보의 주된 이용자는 개념체계에서 현재 및 잠재적 투자자, 대여자와 그 밖의 채권자 등이라고 했고, 

IFRS17 등과 관련하여 보험산업의 경우에는 이에 대하여 좀 더 명확히 표현하면 보험계약자도 주요 이용자로 포함될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포괄적 이용자에는 감독당국, 일반대중, 임직원 등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과거 회계처리 및 최근 논란이 되어 보도된 이슈 등에 대하여 과연 그 과정에서 "주된" 정보이용자에 대한 고려가 제대로 되었는지에 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생각됩니다. 이에 대하여 제 생각을 동영상을 통해 공유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https://youtu.be/Ueobuef7hAY

아래와 같은 update가 진행중이라고 합니다. update되면 해당 기능을 사용해보겠습니다.

 

새로운 채팅을 시작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예시를 제공하고, 대화를 계속 이어나갈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또한, Plus 사용자가 새 채팅을 시작할 때 이전에 선택한 모델을 기억할 수 있습니다.

여러 파일을 업로드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인사이트를 생성하는 기능도 추가됩니다.

또한, 2주마다 로그아웃되는 문제를 해결하였습니다.

 

 

 ChatGPT 새로운 Update 진행 중!

OpenAI 는 8월 3일ChatGPT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작은 업데이트가 진행 중입니다. 다음 주에 출시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1. 프롬프트 예시: 빈 페이지는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제 새 채팅을 시작할 때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되는 예시가 표시됩니다.

2. 추천 답글: 클릭 한 번으로 더 깊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제 ChatGPT가 대화를 이어갈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을 제안합니다.

3. GPT-4가 기본으로 제공됩니다: 플러스 사용자로 새 채팅을 시작할 때, ChatGPT는 이전에 선택한 모델을 기억하므로 더 이상 기본값이 GPT-3.5로 돌아가지 않습니다.

4. 여러 파일 업로드: 이제 여러 파일에 걸쳐 데이터를 분석하고 인사이트를 생성하도록 ChatGPT에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모든 플러스 사용자가 코드 인터프리터 베타 버전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로그인 상태 유지: 더 이상 2주마다 로그아웃하지 않아도 됩니다!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 훨씬 더 환영하는 페이지가 표시됩니다.

6. 키보드 단축키: 마지막 코드 블록을 복사하려면 ⌘(Ctrl) + Shift + ; 같은 단축키를 사용하면 더 빠르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전체 목록을 보려면 ⌘(Ctrl) + /를 사용해 보세요.

 

https://youtu.be/d4wC-i-2IUg

 

* 번역과 텍스트 생성 실습을 통한 트랜스포머 쉽게 해보기.

 

https://youtu.be/NDo9mGsINHY

 

 

+ Recent posts